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ubmit 기본동작
- 채팅 프로젝트
- firstChild
- 타임리프 참조 오류
- 자바 swing 프로젝트
- deploy.sh
- 클래스 참조
- git 폴더 모으기
- Node Property
- Jenkins
- EL1021E
- 깃허브 토큰 발급
- 배포 자동화
- Quartz 라이브러리
- 깃허브 토큰 생성
- CI/CD
- .ppk
- 배열 call by value
- vue 추가
- AWS 생성
- document 함수
- dbeaver 백업/복구
- vue 실행
- ..gitignore
- 테스팅
- Quartz dependency
- 소프트웨어
- reset
- 환경변수
- 되돌리기
- Today
- Total
목록기타 (9)
TY blog
1. 쿠키 - 브라우저에서 정보들을 사용자의 컴퓨터의 저장되는 텍스트 파일 ex) 방문기록, 아이디 저장 등 - 사용자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는 Key - value 형태로 4kb 이상 저장이 불가능하다. - 브라우저별로 쿠키가 공유된다. 2. Expires / Max-Age 1. 세션쿠키 - 브라우저 종료 시 삭제되는 쿠키 ( 브라우저를 완전히 닫으면 삭제되며 완전히 닫지 않으면 같은 브라우저에서 쿠키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 2. 영속쿠키 - 만료일을 기준으로 삭제되는 쿠키, 디스크에 저장되며 만료일 이후에 삭제된다. 3. domain - 쿠키에 접근 가능한 도메인, 생성된 도메인에서만 사용가능하며, 서브도메인에서는 케이스에 따라 공유된다. 4. path - 도메인 내에 쿠키가 허용..
이클립스에서 톰캣 2개를 각각 포트만 다르게 하여 톰캣을 띄워 테스트를 진행했었는데 한쪽 서비스에 로그인이 되어있을 때 다른 한쪽 서비스에서 로그인 시 기존 로그인된 서비스에서 세션이 사라지는 현상을 확인했었다. 위와 같은 현상은 톰캣 2개의 서비스가 포트는 다르지만 같은 IP를 가지고 있어 브라우저에 접근하여 JSESSIONID 값을 같은 값으로 발급되어 양쪽 서비스에서 로그인을 하지 못한다. JSessionID 이란 ? 톰캣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하는 키이다. 즉, 세션에서 사용되는 쿠키이름이다. 톰캣은 JSESSIONID 쿠키를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 주고 이 값을 통해 세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클라이언트는 JSESSIONID 라는 KEY를 서버로 전달하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
1. SQL Exception - 부적합한 열 유형:1111 1. DB null을 허용하지 않는 칼럼에 null 값이 Insert 된 경우 발생 2. 올바르지 않은 입력값이 삽입된 경우 발생 1번 Not null 칼럼값을 Null 허용으로 변경하면 해결된다. #ORACLE 현재 있는 컬럼을 변경시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NULL #테이블 생성시 CREATE TABLE 테이블명 ( 컬럼명 컬럼타입 NULL ) #EX) 컬럼타입 : varchar(10) 3. Mybatis에서 파라미터를 Map으로 전달 시 명시되어 있지 않은 파라미터인 경우 #insert mapper INSERT INTO projectBoard (boardNo, usercode, projectName, projec..
1. 상단에 JSTL 사용을 위한 태그 작성 /*상단에 JSTL 사용을 위한 태그 작성*/ 2. List Foreach 배열 사용방법 ${status.count } ${list.PROJECTNAME } 개인 프로젝트 대학교 과제 알고리즘 개발완료 진행중 ${list.PROJECTDATE == ' ' ? '-' : list.PROJECTDATE} 2-1. c:forEach var="list" items="${list}" varStatus="status" - controller에서 받은 list 객체를 var="list"로 내부에 사용할 변수를 할당해 사용한다. - varStatus="status" 로 상태변수 할당해 ${status.count} 변수를 사용 - ${status.count} : 1부터 시작해..